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엘로힘
- 마음
- 어머니
- 성령
- 하나님의교회 유월절
- 생명수
- 안식일
- 안상홍님
- 안상홍
- 하나님의 교회
- 오순절
- 엘로힘 하나님
- 책추천
- 성경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 우리말
- 하나님의 절기
- 하늘 어머니
- 어머니 하나님
- 어머니하나님
- 하나님
- 가을
- 새언약 유월절
- 새언약
- 유월절
- 하나님의교회
- 아버지 하나님
- 위로
- 재림 그리스도
- 자작시
- Today
- Total
목록이 말 어때? (23)
우주인의 책방

감또개 : 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 모도리 : 빈틈없이 아주 여무진 사람. 도르리 : 1. 여러 사람이 음식을 차례로 돌려 가며 내어 함께 먹음. 또는 그런 일. 2. 똑같이 나누어 주거나 골고루 돌라 줌. 또는 그런 일.

너름새 : 너그럽고 시원스럽게 말로 떠벌려서 일을 주선하는 솜씨를 말합니다. ‘너름’은 ‘너르다’의 명사형이며 ‘-새’는 됨됨이나 성질, 정도 등을 나타내는 접미사입니다. 예문 ) 장일만이는 사람됨이 우직하고 꼬장꼬장하기만 했으나 장춘동이는 형과는 달리 너름새가 있고 활달해서 아까 강쇠네가 말한 대로 두레 총각 대장을 거푸 이 년째나 하고 있었다. (녹두장군, 송기숙作) 작달비 : 장대처럼 굵고 거세게 좍좍 내리는 비를 말합니다. ‘작달’은 키가 덩치에 비해 작은 뜻의 ‘작달막하다’와 같은 뜻입니다. 예문 ) 비는 때아닌 큰물이라도 질 듯이 작달비로 쏟아지면서 천둥에 번개에 할 것은 다 하는 폭우였다. (산 너머 남촌, 이문구作) 모꼬지 :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을 뜻합니..

해토머리 : - 얼었던 땅이 녹아서 풀리기 시작할 때를 말합니다. ‘해토(解土)’는 얼었던 땅이 풀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는 어떤 시기의 시작점을 말합니다. ‘초봄에 얼었던 흙이 풀리려고 하는 때’를 따지기라고 하는데 비슷한 의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예문) 해토머리 무렵에 꼭 돌아오라면서 검정 두루마기와 옷 한 벌을 지어 주었던 봉선이는 지금쯤 눈이 빠지게 그를 기다리다 지쳐서…. (타오르는 강, 문순태 作) 엉너리 : -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어벌쩡하게 서두르는 짓을 뜻합니다. 엉너리의 경기도 사투리로는 얼레발이 있는데요. 얼레발은 설레발과 또 다른 의미입니다. 얼레발인 엉너리는 상대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지만 설레발은 혼자서 몹시 서두르며 부산하게 구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문) 대불이는..

맵찔이 : - 매운 음식에 상당히 약한 사람을 이르는 말입니다. 또는 친구들 사이에서는 매운 맛을 못 먹어 친구들에게 피해를 끼치는 사람들을 뜻하기도 하지요. 친구들끼리 떡볶이를 먹으러 갔는데 그 중 매운 걸 먹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바로 맵찔이가 됩니다. 예문) "미안해 내가 맵찔이라 함께 먹기는 힘들겠어." 설참 : - 설명 참고라는 뜻입니다. 영상이나 사진, 제목 등에 차마 다 설명을 못하는 경우 이 말을 쓰기도 합니다. 예문) "오늘 우리가 만들어볼 요리는 설참해 주세요." 톡디 : Talk ID 의 줄임말입니다. (카톡) 아이디를 물을 때 주로 쓰는 말이죠. 누군가 다가와 톡디라는 말을 쓰는데 괜히 ‘톡’하고 어깨를 친다면 굉장히 어색해 질 수 있어요. 예문) "제가 연락을 하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