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엘로힘 하나님
- 가을
- 우리말
- 하늘 어머니
- 새언약 유월절
- 시집
- 어머니하나님
- 그리움
- 하나님의교회
- 안상홍 하나님
- 오순절
- 안상홍
- 하나님
- 유월절
- 안식일
- 마음
- 성경
- 안상홍님
- 위로
- 신조어
- 어머니 하나님
- 하나님의교회 유월절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 하나님의 절기
- 성령
- 아버지 하나님
- 어머니
- 자작시
- 하나님의 교회
- 책추천
- Today
- 23
- Total
- 27,967
목록이 글 어때? (85)
우주인의 책방

성경 에스겔서 20장 19절부터 읽어보면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백성을 알아보는 표징으로 안식일을 주셨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안식일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하나님의 자녀라는 표징을 갖는 것이고 하나님께서 우리의 하나님이라는 것을 우리로 알게 한다고 하셨습니다. 같은 에스겔 22장 23절부터도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선지자는 사람의 영혼을 멸하고 이리처럼 불의의 이익을 취하는 자들이라고 하셨습니다. 이리라는 동물은 양을 구하는 동물이 아닌 양을 헤치는 동물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도 마태복음 7장 15절에 거짓 선지자가 양의 옷을 입고 나오는 이리라고 하셨죠. 이처럼 거짓 선지자는 결국 하나님의 법인 안식일을 지키지 않고 오히려 성경에도 없는 일요일 예배를 지키며 불법을 행하는 자들입니다. 모든 인류를 통..

그가 번개 빛으로 자기의 사면에 두르시며 바다 밑도 가리우시며 이런 것들로 만민을 징벌하시며 이런 것들로 식물을 풍비히 주시느니라 (욥기 36장 30절 ~ 31절) “번개 빛이 식물을 기른다.”라고 하면 의아하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이는 과학적인 증거가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매일 마시고 있는 공기는 여러 가지 기체가 섞여 있는 혼합물인데요. 그중 질소가 7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죠. 질소는 생물에 있어 중요한 원소 중 하나인데요. 인간도, 광합성하는 식물도, 동물에게도 질소는 반드시 필요한 원소죠. 질소는 생명체의 근 골격을 형성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물질이에요. 그 질소를 동물은 다른 동물의 단백질을 통해 섭취합니다. 그렇다면 식물은 어떻게 섭취할까요? 이제 번개 빛이 왜 식물..

에스겔 37장 24절에서는 성부 하나님께서 다윗이 왕이 될 것과 화평의 언약을 세울 것을 예언하셨습니다. 내 종 다윗이 그들의 왕이 되리니 그들에게 다 한 목자가 있을 것이라 그들이 내 규례를 준행하고 내 율례를 지켜 행하며 … 내가 그들과 화평의 언약을 세워서 영원한 언약이 되게 하고 (에스겔 37장 24절 ~ 26절) 위의 기록은 이스라엘의 두 번째 왕이었던 다윗 왕 사후 450년 뒤의 기록입니다. 그러니 이 말씀에서 다윗이 그들의 왕이 된다는 것은 실질적인 다윗 왕이 아닙니다. 바로 예언적인 다윗 왕인 것이죠. 그러면 백성들을 위해 세워질 화평의 언약은 무엇일까요? 화평의 언약으로 영원한 언약이 된다고 하셨으니 이 말씀에서 강조하고 있는 화평의 언약이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입니다. 먼저 화평의 언약..

무교절을 지키며 금식하고 있는데 갑자기 손님이 찾아왔어요. 손님은 반갑게 맞았지만 음식 대접이 힘든 이유를 말해 줘야겠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이 무교절이며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념하는 금식 중이라고 알려드렸죠. "아~ 저도 천주교인이라 어제 단식했어요. 우리는 고난 주간이라고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지켜요." 천주교인들이 말하는 고난 주간이라는 것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날부터 부활하시기까지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과 죽음을 기념하는 날들을 말합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는 성경에 없는 기념일들입니다. 물론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 부활은 성경에서 기인했습니다. 그러나 그날들은 하나님께서 절기로써 우리에게 보여 주셨고 그날들을 기념하고 싶다면 절기를 지키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별도로 만들어 지키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