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안상홍님
- 새언약
- 재림 그리스도
- 성경
- 하나님
- 우리말
- 어머니
- 오순절
- 유월절
- 하늘 어머니
- 안식일
- 위로
- 어머니 하나님
- 자작시
- 하나님의 절기
- 하나님의교회 유월절
- 하나님의교회
- 가을
- 엘로힘
- 엘로힘 하나님
- 안상홍
- 아버지 하나님
- 어머니하나님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 하나님의 교회
- 마음
- 생명수
- 새언약 유월절
- 책추천
- 성령
- Today
- Total
목록신조어 (5)
우주인의 책방

맵찔이 : - 매운 음식에 상당히 약한 사람을 이르는 말입니다. 또는 친구들 사이에서는 매운 맛을 못 먹어 친구들에게 피해를 끼치는 사람들을 뜻하기도 하지요. 친구들끼리 떡볶이를 먹으러 갔는데 그 중 매운 걸 먹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바로 맵찔이가 됩니다. 예문) "미안해 내가 맵찔이라 함께 먹기는 힘들겠어." 설참 : - 설명 참고라는 뜻입니다. 영상이나 사진, 제목 등에 차마 다 설명을 못하는 경우 이 말을 쓰기도 합니다. 예문) "오늘 우리가 만들어볼 요리는 설참해 주세요." 톡디 : Talk ID 의 줄임말입니다. (카톡) 아이디를 물을 때 주로 쓰는 말이죠. 누군가 다가와 톡디라는 말을 쓰는데 괜히 ‘톡’하고 어깨를 친다면 굉장히 어색해 질 수 있어요. 예문) "제가 연락을 하려는데..

신조어 중에 다소 어려운 단어를 보았어요. ‘킹리적갓심’ 이건 무슨 말일까 도저히 유추하기 어렵더라고요. 결국 여기저기 찾아서 그 뜻을 알아냈는데요. 지금부터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킹리적갓심 - 먼저 ‘킹’은 king, 왕이라는 의미로 기존 단어 앞이나 뒤에 붙여서 강조의 의미를 강하게 하고 있습니다. ‘킹’ 다음에 오는 ‘리적’은 합리적이라는 말에서 ‘합’ 자를 빼고 쓰는 단어인데요. ‘킹리적’이란 ‘완전 합리적인’이라는 뜻을 가지겠죠. 그리고 다음에 오는 ‘갓’ 자 또한 강조의 표현입니다. ‘킹’ 보다는 더 최상급이죠. 요즘 ‘갓’ 자를 넣어서 단어들을 많이 쓰기도 하죠. 가성비가 완전히 뛰어날 때 ‘갓성비’라고 하듯 말이에요. 그다음의 ‘심’ 자는 마음 심(心)을 말하지만 의..

스몸비: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입니다. 주변의 상황에는 신경 쓰지 않고 스마트폰에만 시선을 두고 길을 걷는 사람을 뜻합니다. 이런 스몸비 현상으로 근래에는 보행자 교통사고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길을 걸을 때는 스마트폰을 잠시 내려두면 어떨까요? 저도 길을 걸으며 스마트폰을 보다가 전봇대와 뜻하지 않게 인사를 나눈 적이 많은데요. 머리에 혹도 몇 개, 안경 깨질 뻔도 몇 번 했던지라 지금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이웃님들도 항상 조심하세요. 노포 : 원래는 일본어 시니세(老鋪 しにせ)를 90년대 언론에서 그대로 음독, 기록해서 써오다가 근래 다시 떠오르는 신조어가 되었습니다. 대대로 물려 내려오는 점포를 뜻하는 단어로 영세한 음식점부터 명품 브랜드까지 장수하는 기업들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우리말 ‘오..

신조어를 축약어, 파생어, 합성어, 도치어, 의미변화, 야민정음, 외래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그중에 축약어는 단어 축약과 초성 축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초성 축약으로 발전한 신조어를 살펴볼까 합니다. 초성 축약식의 신조어는 주로 문자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합니다. ㅂㅂㅂㄱ : ‘반박불가’ 라는 뜻. ㅁㄴㅇㄹ : 어떤 상황에서도 쓸 수 있는 만능어입니다. 상대의 이야기를 듣고 딱히 할 말이 없을 때 키보드의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그대로 치는 것입니다. 특별한 의견이나 생각나는 말이 없을 때 또는 하고 싶은 말이 없을 때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