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안상홍
- 성경
- 자작시
- 엘로힘
- 생명수
- 책추천
- 새언약 유월절
- 안상홍님
- 하나님의교회
- 성령
- 어머니 하나님
- 가을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 유월절
- 하나님의교회 유월절
- 어머니하나님
- 아버지 하나님
- 하나님
- 하나님의 절기
- 안식일
- 마음
- 우리말
- 새언약
- 하나님의 교회
- 오순절
- 위로
- 어머니
- 재림 그리스도
- 하늘 어머니
- 엘로힘 하나님
- Today
- Total
목록하나님의교회 (94)
우주인의 책방

하나님의교회 설교 중 ‘아버지의 마지막 부탁’에 대해 들었습니다. 하늘아버지 안상홍님께서 성경의 모든 예언을 마치시고 하늘로 올리우시기 전 마지막으로 하신 부탁 말씀이 “좋은 사람을 찾기보다는 좋은 사람이 되라”는 것이었습니다.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설교에서는 누가복음 10장 28절의 선한 사마리아인에 대한 교훈을 들어 이처럼 하는 것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셨습니다. 레위인도 제사장도 강도 만난 사람을 그냥 지나쳤지만 사마리아인은 바쁜 와중에도 가장 먼저 한 일이 생명을 구하는 일에 마음과 정성을 기울인 것이죠. 이것이 바로 좋은 사람의 모습입니다. 생명을 구하는 일에 정성을 쏟는 것. 비록 당장의 결실은 없더라도 당장 어떤 효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실망하지 말고 생명 구하는 일에 정성을..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세워주신 율법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하고 있을까요? 구약시대에는 모세의 율법을 주시고 신약시대에는 그리스도의 율법을 세우시면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는 것은 하나입니다. 바로 사랑이죠. 예수님께서 주신 말씀을 통해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마음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라 하셨고 둘째 또한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고 하셨습니다. 이는 구약에 주신 십계명을 두 가지로 압축하신 내용인데요. 십계명을 보면 첫째 계명부터 넷째 계명까지는 하나님께 속한 계명으로 이 계명들을 이루기 위해서는 마음과 목숨과 뜻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강조하셨죠. 또한 십계명 중 다섯째 계명부터 열째 계명까지는 사람에 속한 계명으로 이를 완성..

사마리아 성은 이스라엘이 남과 북으로 나눠진 후 북 이스라엘의 왕 오므리 시대에 건축되었습니다. 오므리 왕이 세멜이라는 사람의 소유인 산을 사서 성을 건축했고 그 성을 세멜의 이름을 따라 ‘사마리아’라고 한 것이죠. 이후부터 북 이스라엘의 왕들은 사마리아에서 나라를 다스렸고 오므리 왕 시대부터 사마리아는 북 이스라엘의 수도가 된 것이죠. 이렇게 사마리아가 북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수도가 되었고 다른 나라의 침입을 받을 때 남 유다보다 쉽게 그 나라에서 이주해온 이방인들과 혼혈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종교적으로도 하나님과 다른 신들을 함께 섬기는 혼합된 신앙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해서 유대인들은 사마리아 사람들을 멸시하며 상대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사마리아 여인에게 전도하셨고 비유를 통해서도 사..

어머니 하나님을 믿는 것은 첫째 계명을 어기는 것이라는 말을 들어 본 적 있으세요? 이런 이야기를 듣고 저는 깜짝 놀랐지 뭐예요. 그들의 주장인즉, "하나님께서 십계명 중 첫째 계명으로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라고 하셨으니 아버지 하나님 외에 어머니 하나님을 믿는 것은 하나님 외에 다른 신을 섬기는 것이므로 첫째 계명을 어기는 것이다"는 말입니다.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을 믿는 우리는 이 주장을 들으면 정말 의아 합니다. 왜 이런 주장을 하는지 모르겠으나 어머니 하나님을 다른 신으로 생각하기 때문이 아닐까 짐작해 봅니다. 아무튼 이런 주장은 '엘로힘 하나님'에 대해 잘 모르고 하는 주장인듯 합니다. 사실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을 의미하는 히브리어는 바로 '엘로힘'입니다. 이는 복수형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