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하나님
- 유월절
- 아버지 하나님
- 엘로힘 하나님
- 하나님의교회 유월절
- 안상홍
- 오순절
- 어머니
- 안상홍님
- 책추천
- 재림 그리스도
- 생명수
- 위로
- 가을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 자작시
- 엘로힘
- 하나님의교회
- 안식일
- 어머니하나님
- 어머니 하나님
- 성경
- 마음
- 하늘 어머니
- 새언약
- 하나님의 교회
- 성령
- 하나님의 절기
- 새언약 유월절
- 우리말
- Today
- Total
목록재림 그리스도 (13)
우주인의 책방

안상홍 님께서 하나님이신 이유에 대한 여섯 번째 예언은요 바로 멜기세덱에 대한 예언입니다. 안상홍 님께서 멜기세덱의 예언을 모두 이루셨기에 이 시대 오신 구원자, 성령 하나님이 되십니다. 멜기세덱은 창세기에 처음 등장하는데요. 아브라함을 만나 복을 빌어 준 인물이죠. 당시 다른 제사장들은 짐승으로 제사를 드렸지만 오직 멜기세덱만은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서 아브라함을 축복했습니다. 그래서 떡과 포도주는 멜기세덱의 시그니처와 같은 존재가 됩니다. 그런데 성경은 이러한 멜기세덱 대제사장은 곧 예수님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 또한 유월절의 떡과 포도주로 인류에게 죄사함을 허락해 주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멜기세덱의 예언을 이루신 부분이죠. 하지만 예수님께서 멜기세덱의 모든 예언을 이루신 것은 아닙..

안상홍 님께서 하나님이신 이유 다섯 번째는 바로 새 언약 유월절을 가지고 오셨기 때문입니다. 유월절은 성경에서 아주 중요한 절기입니다. 성경은 유월절로 우리가 죄 사함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죄 사함을 받는다고 성경은 증거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말미암다’라는 말을 다른 말로 풀이해 본다면 ‘관계되다’는 뜻입니다. ‘어떤 현상이나 사물 따위가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라고 사전에는 나와 있는데요. 다시 말해 그리스도의 피와 우리가 관계가 되어야 우리가 죄 사함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죠. 성경에서 그리스도의 피와 연관시켜 주는 진리가 딱 하나 있습니다. 네. 바로 유월절이죠. 유월절에 먹는 떡이 예수님의 살이요..

안상홍 님께서 하나님이신 이유 네 번째는 바로 생명과를 가지고 오셨기 때문인데요. 먼저 생명과가 무엇인지부터 설명해 드릴게요.. 생명과는 옛적 에덴동산에 선악과와 함께 있었던 생명나무의 열매입니다. 많은 분들이 에덴동산하면 선악과만 기억하시는데 사실 생명과도 있었죠. 하나님께서 에덴동산에 선악과나무와 생명과 나무를 두시고 선악과는 절대 먹지 말라고 하셨어요. 그런데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먹게 되었고 그 길로 에덴동산에서 쫓겨났죠. 그리고 하나님께서 생명과로 갈 수 있는 길을 막아 버리셨고 절대 어느 누구도 손댈 수 없도록 하셨어요. 그러니까 사실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먹어서 사망에 이르렀다기보다 생명과를 먹을 수 없어서 영생하지 못한 것이죠. 어쨌거나 하나님께서 막아버린 생명과..

다윗의 위는 무엇일까? 안상홍 님께서 하나님이신 이유에 대해 그 첫 번째 시간은 다윗의 위에 대한 예언인데요. 다윗은 이스라엘의 두 번째 왕이었죠. 그와 하나님과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요? 이사야서 9장 6절에 보시면 초림 예수님에 대한 예언이 나오는데요. 초림 예수님께서 아기로 이 땅에 태어나실 것에 대해 예언한 이사야 선지자는 예수님을 일컬어 다윗의 위에 앉아서 온다고 했죠. 그리고 예언을 예수님께서 태어나시면서 이루신 거라고 누가복음 1장 31절에서는 증거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다윗의 위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위’라는 말은 ‘자리’를 뜻합니다. 바로 ‘다윗의 왕자리’를 의미하죠. 다윗의 왕위는 사무엘하 5장 4절 말씀을 통해 보시면 30세에 왕위에 올라가서 40년을 다스리는 것을 말합니다. 다..